천도에 의한 우주의 질서는 중에 의해 균형이 이루어진다. 인간세상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천도와 같은 중을 유지해야만 한다. 그것이 바로 중용이다. 중이란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앞에서 말한 천도의 전반적인 내용과 연관해 이해해야 한다. 천도의 원형이정 가운데는 주재자 천이 중심을 잡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 년의 사계절의 중심에는 태양이 중심을 잡고 있으며, 달의 사시는 지구라는 중심이 존재한다. 하루 사시의 중심은 지구의 자전축이 중심을 잡고 있다. 중이라는 것은 천도에 의해 모든 사물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근원의 중과 그 근원의 중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다양한 작은 중, 그리고 작은 중을 중심으로 한 더 작은 중이 수없이 존재하고 있다. 우주를 보면 천체에는 다양한 중이 존재한다. 나선형..
도를 실천하는 것은 남자가 여자를 좋아하듯이, 여자가 남자를 좋아하듯이 기쁜 마음으로 실천해 나가는 것이다. 기쁜 마음으로 행하는 것은 남에게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혼자 있을 때에도 실천하는 정직한 마음이 있을 때 가능하다. 숨겨진 것보다 느러나는 것은 없으며, 미미한 것보다 나타나는 것은 없으니, 그렇기 때문에 군자는 그 홀로 있음을 삼가는 것이다. 잘못은 아무리 감추려고 해도 언젠가 드러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올바른 사람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성을 지닌 인간으로서 자존심이 상처받지 않도록 혼자 있을 때 능동적으로 삼가는 신독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가 잠시라도 자신의 몸에서 떠나지 않도록 스스로 정직해야 한다. 정직함은 자존심의 표현이며 인간이 살아 있는 가치이기도 하다. 논어에서 공자는 이..